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트라이샌드효과 뜻 기원 활용방법

by 새이슈 2024. 7. 19.
반응형

스트라이샌드 효과: 정보 삭제 시도가 역효과를 불러오다

스트라이샌드 효과(Streisand effect)는 특정 정보를 인위적으로 삭제하거나 검열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그 정보를 더 널리 퍼지게 만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가운데가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저택


이 용어의 어원은 미국의 유명 가수이자 배우인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에서 유래했습니다.

2002년,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지원으로 진행된 캘리포니아 해안 기록 프로젝트에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저택 사진이 공개되었습니다. 이에 스트라이샌드는 자신의 사생활 침해를 이유로 사진 삭제를 요구하고 5천만 달러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이 소송 사실이 보도되자 오히려 폭발적인 관심을 끌게 되었고, 그 사진은 한 달 동안 42만 회 이상 조회되는 역효과가 발생했습니다. 소송 전에는 그 사진이 고작 6회 조회되었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증가세였습니다. (이중 2번은 스트라이샌드의 변호사들이 조회한...;;)

 

결국 스트라이샌드의 소송은 기각되었고, 오히려 소송 비용만 부담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처럼 공개된 정보를 억압하려는 시도가 오히려 그 정보에 대한 관심을 더 불러일으키는 현상을 '스트라이샌드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주로 온라인상에서 많이 나타나며, 단순한 역효과나 부작용과는 구분됩니다. 또한 노이즈 마케팅과도 차이가 있는데, 노이즈 마케팅은 의도적으로 소란을 일으키는 행위인 반면 스트라이샌드 효과는 사람들의 심리적 반응에 기인한 것입니다.

 

스트라이샌드 효과가 발생하면 사회적인 열풍이 일어나는 경우도 많아, 이를 잘 이해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위 빠가 까를 만든다나 까가 빠를 만든다도 이 효과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는데. 까를 만드는 빠나 빠를 만드는 까들은 반대 의견을 수용하기보다는 무조건 차단하려는 행동을 보여 비호감을 더 크게 갖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여튼 비호감을 주는것만으로도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